본문 바로가기
UIUX 학습일지

[제로베이스 UI/UX 13기] 1주차 여섯번째

by 호진 2023. 4. 11.

이번 글은 디자인 평가 및 테스트 되기에 관해서...

 

 

 

프로토타입 (Prototype)

제품이나 서비스의 아이디어를 구혀낳고 시각화한 모형이나 샘플 버전이다.

디자이너나 프로덕트 매니저ㅏ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검증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프로토타입을 만들면 아이디어를 빠르게 시각화하고 다양한 시나리오에 따른 사용자 경험을 시뮬레이션하여 검증할 수 있다.

 

 

Lo-fi prototype

 

로우파이 프로토타입은 간단한 스케치나 와이어프레임으로 구현된다. (손 쉬운 수정)

 

파워포인트 - 없는 사람이 없음, 쉬운 공유, 스탠실을 통한 빠른 제작, 제한적 인터랙션, 업데이트의 어려움

발사믹 - 아주 쉬운 사용, 빠른 제작 시간, 쉬운 공유, 제한적 인터랙션, 비현실적인 표현

 

Hi-fi prototype

 

실제 제품과 유사한 모습을 가진다. (현실적인 디자인 검증 가능)

 

인비전 - 라이브러리 등록, 직관적인 사용, 화면단위 피드백 수집, 제한적인 인터랙션, 디자인 기능 부족

피그마 - 직관적인 사용, 스케치 파일 Import, 다양한 인터랙션 지원, 화면 단위 피드백 수집

프레이머 - CLI (command line interface), 높은자유도, 넓은 호환성, 커피 스크립트

 

 

프로토타입의 제작과 활용

 

제작 목적 정하기

MVP(Minimum Viable Product) = 최소 기능의 제품

MVP는 최소한의 노력을 최대한의 유의미한 사용자 피드백을 얻기 위한 최소한의 제품

 

 

Lo-fi 프로토타입을 만들거나 Hi-fi 프로토타입을 만들거나 또는 데모 비디오나 컨셉 시나리오 만으로도 가능함

 

 

사용성 평가

제품 또는 서비스의 사용성을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해 사용자들의 행동과 피드백을 수집하는 방법이다.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사용자 인터뷰, 설문조사, 태스크 수행, 아이 트래킹, 카드 정렬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