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UIUX 학습일지

[제로베이스 UI/UX 13기] 1주차 세번째

by 호진 2023. 4. 6.

모델링

 

 

1. 사용자 여정 지도(User Journey Map)

 

- 사용자가 과업을 수행하는 동안 행동, 느끼는 감정 그리고, 상호작용하는 접점을 시간순서로 정의한 것.

 

사용자 여정 지도를 통해 알 수 있는 것

- 사용 동기

- 시작 점

- 행동

- 감정

- 도구

- 시간

 

유저 저니 맵

 

사용자 여정 지도의 활용

 

- 팀원 및 이해관계자들(Stakeholders)의 공통된 이해를 돕는다

- 디자인 의사결정의 주요 기준이 된다

- 기회 요인(Opportunity)과 문제점(Problem)을 도찰할 수 있고 특히 선후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 사용자가 우리 제품을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지 쉽게 파악 할 수 있다.

- 타 부서와의 협업에 매우 유용한 자료가 된다.

 

사용자 여정 지도의 중요성

 

- 우리가 누구보다 우리 사용자를 잘 이해하고 있다 > 너무 높은 자신감

- 우리 사용자는 이렇게 생가 할 거야 > 나를 기준으로 해석 > 확증편향에 빠짐

- 사용자 조사 결과를 객관저그로 해석하지 못함

 

 

2. 사용자 여정 지도의 활용

 

사용자 여정 지도가 있다면...

- 한마음 한 뜻 : 팀원 모두가 일치된 사용자 모델을 이해

- 문제점의 구체화 : 문제점을 다각도로 분석하여 문제의 원인과 해결방안 모색에 도움을 줌

 

 

문제점의 구체화

3. 테스크 플로우(Task Flow)

 

테스크플로우는 사용자가 제품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단계들을 거처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는지를 설명하는 도구이다.

사용자가 제품 또는 서비스를 사용하는 과정을 그림과 함께 나열한 것

 

4. 테스크 플로우 만들기

목적 - 신규 개발을 위해, 기존 UI 분석을 위해

시나리오 정의 - 누가 사용하는가, 어떤 목적으로 사용하는가, 언제, 어디서, 무엇으로 사용하는가

디테일 수준 - 작성 목적에 따라 디테일 수준을 정한다.

작성 방법 - 작성과 수정/공유가 용이한 방법을 고려한다.

 

 

5. 스토리 맵 (User Story map)

 

 

- 사용자 프로필 및 스토리 수집 : 먼저, 제품 또는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프로필과 사용자 스토리를 수집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이 제품 또는 서비스를 사용하는 괴정에서 경험하는 요구사항, 문제점 등 파악 가능

 

- 에픽 정의 : 사용자 스토리를 바탕으로 대형 기능 요구사항인 에픽을 정의한다. 에픽은 사용자 스토리를 보다 큰 기능 요구사항으로 

                    구성한 것으로, 제품 또는 서비스의 큰 그림을 파악할 수 있다.

 

- User Stroy Map 구성 : 정의된 사용자 스토리와 에픽을 기반으로 User Story Map을 구성한다.

 

- 우선순위 설정 : User Story Map에서는 사용자의 경험과 요구사항에 따라 기능과 특징을 우선순윙 따라 나열한다.

 

- 시각화 : User Story Map은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과 개발을 위한 도구이기 때문에 시각화가 중요하다.

 

- 검토 및 수정 : 마지막으로, 구성된 User Story Map을 검토하고 필요에 따라 수정한다.